미국 공항에 설치돼 인권침해 논란을 불러일으킨 ‘알몸 투시기’가 국내 주요 공항에도 설치된다.
국토해양부는 항공테러 위협에 대비해 인천·김포 공항 등 국내 주요 국제공항에 전신 검색이 가능한 알몸 투시기(전신 검색기)를 6월까지 설치해 시범 운영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인천국제공항에는 3~4대의 알몸 투시기를 설치하고 김포·김해·제주 공항 등에도 3대를 설치해 운영한다.
알몸 투시기는 기존 금속탐지기가 탐지하기 어려운 세라믹 제품의 무기와 분말폭약 등을 신체에 붙이고 숨겨도 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신체가 확연히 드러나 인권침해, 사생활 노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국토부는 알몸 투시기를 거쳐야 하는 대상을 1차 보안검색에서 의심되는 승객, 미국 교통안전국이 지명한 요주의 승객 등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임산부와 영유아, 장애인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국토부는 또 알몸 투시기를 운영할 때 이미지 분석실을 격리해, 이미지 분석요원은 승객을 볼 수 없고 검색 통제요원은 검색 이미지를 볼 수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알몸 투시기는 지난해 크리스마스 때 미국 노스웨스트항공 여객기 폭탄테러 기도사건을 계기로 미국·영국·네덜란드·오스트레일리아·일본 등이 설치해 시범 운영중이다.
이에 대해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정부가 국민의 알몸을 들여다봐야 할 만큼 긴급하지 않은 상황에서, 목욕탕 절도범을 잡겠다며 탈의실에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설치하자는 것과 같은 논리를 펴고 있다”며 “국민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 테러 방지 수단을 찾는 게 정부의 도리”라고 말했다.
허종식 선임기자 jo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