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혀가는 옛 남영동 대공분실…방문객 `뚝'
![연합뉴스](http://imgnews.naver.com/image/news/2009/press/top_001.gif)
![]() |
옛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 조사실 (자료사진) |
개방 5년 됐으나 민주주의·인권 배움터 역할 못해
(서울=연합뉴스) 이지헌 기자 = 1987년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한 옛 남영동 대공분실이 개방된 지 5년이 지났으나 찾는 사람이 거의 없어 민주주의와 인권 배움터 구실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기자가 8일 찾아간 용산구 남영동 경찰청 인권보호센터 정문에서는 이곳이 옛 대공분실임을 알려주는 아무런 표시도 없었다.
2005년 남영동 분실이 일반인에게 개방됐기 때문이다. 경찰청 보안3과가 다른 곳으로 이전하면서 건물이 인권교육 기념관 등의 용도로 변경된 것.
건물 증·개축으로 5층 조사실이 모두 바뀌었으나 박종철 열사가 물고문으로 숨진 509호실은 원형 그대로 남아있다. 건물 일부는 경찰청 인권보호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4층에는 열사의 책과 편지, 개인 물품 등을 전시한 기념관이 있다.
그러나 이곳을 찾는 일반 시민의 발걸음은 뜸하다.
인권보호센터 관계자는 "기념관 등은 일반에 공개돼 있고 별도 신청 없이 방문해서 볼 수 있다. 개방 초기에는 사람들이 꽤 찾았다고 들었는데 최근에는 찾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인터넷에서는 남영동 분실의 위치조차 찾기 어려울 정도로 방문정보가 공개되지 않았다.
경찰이 인권교육 등에 기념관을 활용하는 것에 소극적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은 "2008년 촛불집회 이후 경찰과 시민사회단체와 관계가 불편해진 뒤로 인권기념관 사업이 추진동력을 잃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 |
옛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 조사실 (자료사진) |
촛불집회 때 경찰의 강경 진압에 대한 항의로 경찰인권위원이 전원 사임하면서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주체가 사라지면서 인권 배움터 구실을 못했다는 것이다.
현 정부 들어 경찰 조직에서 인권보호센터의 위상이 축소된 것도 한 이유다.
인권보호센터장은 현재 공석인 상태다.
인권보호센터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인권보호센터 건물 운영과 관련해 변동상황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오 사무국장은 "`고문 반대'는 진보든 보수든 똑같이 추구해야 할 당연한 가치다. 현 정부에서도 인권교육 등에 남영동 분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p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