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권에 대한 개념을 소개하는 일종의 인권법총론으로 법학계의 열악한 인권 이해에 대해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인권사례들을 수록하였다.


















저자소개
이상돈 - 한국전쟁 중 피난지 부산에서 태어나서 서울에서 자랐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했고, 해군장교로 군 복무를 마친 후, 미국에 유학해서 뉴올리언스에 위치한 튤레인 대학에서 법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중앙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2001~03년 동안에는 학장을 지냈다. 미국 조지아 대학 딘 러스크 센터 교환연구원(1988년), 조지타운 대학 풀브라이트 방문학자(1993~94년)를 지냈고, 1996년 가을 학기에는 로욜라 로스쿨에서 교환교수로 강의를 했다. 저서로는 <비판적 환경주의자>(2006년), <세계의 트렌드를 읽는 100권의 책>(2006년), <지구촌 환경보호와 한국의 환경정책>(1995년),<국제거래법>(1992년),<미국의 헌법과연 방대법원>(1983년)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중상모략>(공역, 2007년), <에코스캠>(1999년)이 있다. 1995년~2003년간 조선일보 비상임 논설위원을 지냈고, 그 후에도 조선일보, 문화일보 등에 기고를 했으며, 2007년 들어서는 동아일보에 고정적으로 기고를 해 오고 있다.


목차
제1부 인권의 개념과 한계
1. 인권사상의 기초
2. 근대적 인권사상의 이론적 특성
3. 근대적 인권사상의 실천적 한계

제2부 인권과 주권
4. 정치모델과 인권
5. 하버마스의 인권이론

제3부 현대사회와 인권
6. 인권 개념의 절차화
7. 인권 개념의 세계화
8. 인권 개념의 지역화

제4부 인권의 실현
9. 인권실현모델 - 국가주도와 시민주도
10. 국가인권위원회 


서평
근대적 인권개념을 넘어서

1. 인권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한국사회에서 인권이 담론화된지도 이제 꽤 많은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은 ‘인권’을 이야기하고 싸우는 것 자체가 의미있는 것이었지만, 이제는 ‘인권’이라는 담론이 갖는 의미를 차분하게 평가해 볼 시점이 된 듯하다. 그런 점에서 이상돈 교수의 <인권법>이 다루고 있는 몇 가지 쟁점들은 주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첫 번째 쟁점은 “인권의 보편성”과 “근대적 인권개념”에 대한 의문이고(제1부), 두 번째는 그러한 의문을 바탕으로 해서 “인권개념의 재구성”을 어떻게 할 것인가이고(제2부, 제3부), 세 번째는 그런 이해를 토대로 어떻게 “인권실현의 모델을 만들 것인가”(제4부) 하는 것이다.



이 서평은 홍성수 교수가 인권연대 주간 웹진 '사람소리'에 기고한 것으로, 홍성수 교수는 런던정경대학(LSE) 박사과정에서 인권법과 법사회학을 공부하고 현재는 숙명여대 법대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책소개
아연 동아시아 연구총서 4권. 인권의 이념을 도덕과 법, 정치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규범적 토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책의 전반부에서는 주로 유교적 지식인들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논하였으며, 후반부에서는 인권의 이념이 과거의 자유주의적인 정당화의 방식을 넘어서 '정치적 정의론'으로 재구성될 수밖에 없는 일련의 이유들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소개
임홍빈 - 1954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철학, 사회학, 교육학 등을 연구하고 같은 학교에서 철학 석사와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문과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고대 부설 철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기술문명과 철학>, <근대적 이성과 헤겔 철학>, 옮긴 책으로는 <정신분석 강의>, <윤리학 사전> 등이 있다.


목차
아연 동아시아연구총서 발간에 부쳐
서문
감사의 말

제1장 인권의 윤리
제2장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본 인권담론
제3장 인권이념에 대한 비판적 담론의 비판
제4장 인권이념에 대한 상대주의적 반론들
제5장 보편적 인권이념을 위한 두 가지 변론: 전통주의를 넘어서
제6장 인권담론의 세계화: 그 제도적 조건들
제7장 인권담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규범문화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평
인권의 이념과 아시아가치론 (아연출판부, 2003)

‘인권의 보편성’의 문제는 인권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건 실천적으로 접근하건 언제나 부딪히게 되는 문제이다. 여기서 ‘인권의 보편성’이란 인권은 시공간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어야 함을 말한다. 세계인권선언의 “인류가족 모든 구성원의 타고난 존엄성과 평등하고도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전세계의 자유와 정의와 평화의 기초이며…”라는 구절과 1993년 비엔나선언 및 행동계획에서의 “모든 인권은 보편성, 불가분성, 상호의존성과 상호관련성을 갖는다.”는 구절은 이러한 인권의 보편적 성격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이 서평은 홍성수 교수가 인권연대 주간 웹진 '사람소리'에 기고한 것으로, 홍성수 교수는 런던정경대학(LSE) 박사과정에서 인권법과 법사회학을 공부하고 현재는 숙명여대 법대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 Recent posts